본문 바로가기

역행자의 삶 (feat. 중꺽마)

2022/07/20 퀀린이 프로젝트 시즌 1 정리 (할 수 있다! 알고 투자, 강환국)

퀀트 투자 관련 A/I  중 하나로 강환국 저자의 유투브 채널 '할 수 있다! 알고 투자'에서 퀀린이 프로젝트를 정주행하기로 한다. 흘리듯이 보면 기억에 남질 않으니, 보면서 메모했던 부분은 이 글에 따로 정리하기로 한다.

 

  • 큰 손실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 계획을 세우고 투자해라: 정확하게는 사기 전에 어디서(가격) 언제(시간) 팔 지 정해야 한다
  • 주식에 내 돈이 들어가는 순간 우리는 다 원숭이다
  • 매수전 MDD 선을 그려보자: 전략은 잘 '안될 때'가 문제다. 내가 안되는 경우 어디까지 견뎌낼 수 있는가?
  • 기존 주식을 볼 때는 '지금 내가 이 가격에 얘를 살 것인가?' 반문해본다
  • 전략 2~3개 응용할 수록 수익률을 올라가고 MDD는 떨어진다
  • 영구포트폴리오 (자산을 4개 SPY, GLD, TLT,  현금으로 나눈다): 영구포트폴리오 수익 Maximize 고민 필요 (GLD vs KRX 금거래, 현금 vs Heybit 가상화페 투자), 또는 LAA 전략 (영구포트폴리오에서 현금 비중을 다른 곳으로 옮긴다) 활용
  • VAA전략: 공격자산 + 방어자산, 각 자산군 내에서 잘나가는 애를 산다
  • Allocate Smarathy 사이트에서 회원가입시  50년 백테스트 결과 확인 가능: CAGR, MDD, Drawdown, 월별 수익률
  • 주식: 11월에서 사고 4월에 판다 > 5월에 사서 10월에 판다
  • 주식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 '우량한 기업을 염가에 사라', 마법 공식으로 저평가 + 우량주, 저평가 지표로는 EV/EBIT (PER, PBR 와 같이 Price로 시작하는 지표들, 벨류 = 염가지표) 수익성 지표로는 ROIC를 제안하나 GP/A가 수익성이 더 나은 것으로 밝혀져있음 예) 퀀트킹 시뮬레이션: PER 순위와 GP/A 순위를 더해서 평균 순위를 구함 (비중 100, 100), 매매방식 = 분기, 테스트 기간 = Max 14년, 편입갯수 = 20개, 매도 수수료 = 0.5%, 코스피/코스닥 선택, 업종에서 해외본사(중국기업 등), 스팩, 금융/지주사는 강환국 개인 선호에 따라 제외하고 돌리면 CAGR, MDD, 월간수익률 확인해 볼 것. 종목 투자 같은 경우 장 빠지면 어차피 다같이 작살나기 떄문에, All-in 위험
  • 매출 - 원가 = 매출 총이익, 매출 총이익 - 판관비 = 영업이익, 영업이익 - 모든 비용 = 순이익
  • 시가총액기준  PER는 순이익, PSR은 매출액,  POR은 영업이익, PBR은 순자산 기준으로 나눈 것
  • 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 @오닐: Cup with Handle 패턴 * Cup과 Handle을 지나 저항성을 뚫고 올라갈 때 사라, CAN SLIM 확인 * C: 현재 분기 주당 순이익 EPS 증가율, A: 연간 순이익 YoY 증가율 (직전 4분기 대비 얼마나 성장했는지),  N: 새로운 거 (계량화는 어렵) S:수요과 공급, 즉 주식 수가 많은지? (적으면 띄우기가 좋다, 대형주보다는 소형주의 수익률이 좋음),  L: 주도주 인가 (가장 핫한 산업에서 가장 핫한 주식 인가), Z: 기관 투자자의 back-up, M: 시장의 방향성 (상승장에서 매수하라), 사고 2-30% 오르면 팔아라, 사고 4주 이내 20% 급등 시 좋은 주식이니 보유, 8% 떨어지면 무조건 매도 (Handle이 아님), 주식을 10개 이하로 가져가라 예) 1억이면 1개에 천만원, 천만원에서 8% 깨지면 -80만원, 전체로 봤을 때는 0.8% 즉 1% 미만의 손실. 2-30% 오를 때 매수하고, -8% 일때 매도하는 걸 3:1 비율로만 해도 우리는 돈을 벌 수 있다 >> 책의 모든 내용을 내 걸로 만들 필요는 없다. 계량화 가능한 부분을 찾아서 전략을 만드는 데 사용하면 그 뿐 * 투자자들의 실수 21가지 알아보자
  • 퀀린이 전략 리뷰: PER (가치주) + GP/A (우량주) +  EPS QoQ 증가율 + EPS YoY 증가율 >> 이렇게 되면 성장지수 비중이 좀 큰 상태, 퀀트킹에 넣어보니 CAGR 34.8%, MDD 41.4%, 3-4년 비실거리기도, 1-2년에 2배 이상 수익 나기도. MDD가 크지만, 기본 전략으로 영구 50%, VAA 50% 라고 가정했을 때, 영구 50% 중 주식이 1/4이면 12.5%, 이 부분을 위의 포트폴리오로 실행할 경우 1/2이 날라가도 전체 자산의 6%가 날라가는 것, 개선 포인트는 QoQ 빼고 YoY 만 넣을 것 * 한국은 최근 4분기 안 중요, 가장 최근 분기만 보면 됨 @7화 가서 다시 확인할 것,  YoY 성장률이 최소 25% 이상인 주식만 사는 것은 어떨 지 실험해보자 (차이 없었음), 4개 지표 순위 메기고 평균 순위가 가장 높은 20개 기업에 투자하자 + 시가 총액 하위 20% 정도 (약 400개) 안에서 하면 수익률 높아질 것. 하위 10% 하면 수익률 더 높아지지만 MDD도 커짐
  • 퀀트킹에서는 오늘, 내가 입력한 전략에 해당되는 종목 뽑아볼 수 있음. 히스토리 역시 활용 가능
  • 한국은 EPS 상승률이 높으면 수익이 좋고, 미국은 최근 주가 상승률이 높으면 (=가격 모멘텀) 수익이 좋음
  • 미국 주식은 FINVIZ 라는 사이트에서 검증 가능: 만약 저평가 (PER < 20, 10이면 좋은데 많지 않을 것) + 우량주 (GP/A, 이 사이트에는 GP/A 가 없음으로 ROE 20% 이상정도? 참고로 ROE는 미국에서는 먹히지만 한국에서는 안 먹힘) + 성장주 (EPS, EPS growth qtr over qtr 25% 이상정도?) + 소형주 (시가총액 하위 20%) 전략으로 하되 +  최종 선정 지표는 가격 모멘텀으로 (앞서 말한대로 미국은 가격 모멘텀이 잘 먹히는 지표, 최근 3-12개월 제일 많이 오른 주식이 제일 잘나감, 최근 1개월 동안 잘나간 주식은 고꾸라짐) Performance(Year)로 하면 최근 1년간 가장 잘 나간 주식임  // 그 외에 EPS growth this year 는 미국에서 잘 안먹힘 (@월가의 퀀트 투자 바이블), 50 Day simple moving average 라는건 최근 50일간 주가를 다 더해서 평균낸 후, 지금 주가가 그 것보다 위인지 아래인지 보는 것. 절대모멘텀 확인하는 지표로 (상승자에 투자!) 미국에서는 200일 이동 평균선 사용 가능. 가격이 200일 이동 평균선 위이면 보통 상승장이라고 함 >> 이렇게 해서 나온 주식들을 보면 Small(Over 300M, 3억달러 이상으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처음 들어본 기업이지만 규모가 큼. Billion(10억불)이니까 한국 기준 조단위 기업들  * 시뮬레이션 보고 싶으면 8화로
  • 강환국의 경우 전략별로 약 20개 정도씩 구매
  • 개별주 투자를 위한 책, 나는 주식투자로 250만불 벌었다 @Davis: 미국 주식에 적합하나 한국에서도 먹힘, 주식을 고를 때는 기술적 지표 + 기업 가치를 고려해야한다, 평소 보던 기업과 특이점이 나타난 기업을 주의깊게 본다, 전체적으로는 오닐과 같은 이야기 1. 이익성장 EPS 매우 강조(C, A) 2. 가장 한핫 산업, 핫한 기업(L) 3. 신생 산업(N) 4. 거래량 증가, 기관이 미는 기업(S, Z) // 기술적으로는 박스 이론에 따라 매수 (계속해서 위로 박스를 쌓아가는지 관찰, 기존 박스를 벗어나 위로 올라가면 매수) 가장 직관적인 그래프는 다비스: 박스 돌파시 매수 = 본전 심리 없다, 더블바텀: 박스 바텀에서 튕길때 매수 = 이정도면 싸다는 심리 이용 // 손절매 주문은 필수다! 박스 하단 손절매 기준으로 해서 기존 박스를 벗어나 아래로 떨어지면 자동 손절매 되도록: 돌파시 매수한다고 반드시 쭉쭉 뻗는게 아님 (상승확률은 반도 안됨) 가격이 다시 미끄러져서 박스 안으로 돌아오면 손절 (대부분 그럴 것) 그런데 총 3번 중 1번 10% 상승하고 2번 3% 잃는다고 생각하면 TTL 4% 이익이니까. 수익은 무한대인데, 손실을 제한하는 전략. 잃을 때 손실은 총 자산대비 1% 미만으로 가져가야한다 (손실은 짧게!) 예) 5% 손절이면 총 자산의 20% 투입, 총 1억 중 2천만원 투자. 5%면 -100만 됐을 때 손절하면 전체 자산으로는 1% 미만, 반면 오르는 주식은 팔지 않는다 (수익은 길게!): 주가가 떨어지거나 작스권 내내 지지부진하게 오래 갇혀 있으면 매도하는 것, 오르는 주식은 파는게 아니라 추가 매수하는 것(피라미딩), 2-3달 타임라인은 어떨까?, 강세장에서만 매수하고 (200일 이동평균선 기준?) 약세장에서는 덜 빠지는 종목 주목해라, 얘들이 강세장에 나간다 // 자만하면 초고수도 무너진다, 나는 원숭이다!
  • 퀀린이 전략 리뷰: 영구포트폴리오 3천 (한국 개별 1천, 채권 750만, 금 750만, 헤이비트 500만), 미국 개별 1천, VAA 2천5백일 경우 MDD 확인 * 개별주식은 영구 포트폴리오에 넣는다고 치면 주식 비중 2천이므로 영구내에서 비중은 주식 50% 채권 18.75% 금 18.75% 헤이비트 12.5%가 되는 것임. 그럼 MDD가 35%정도인데 한미가 역방항인거 생각하면 약 30% 정도?
  • 개개인의 전략 세운 후 MDD 확인해보자: 1. PORTFOLIO VISUALIZER - Tools - Backtest Asset Class Allocation 예) US large cap 25%, Emerging - 한국 25%, Long Term Treasury 18.75% Gold 18.75% Cash 12.5% 해보면 MDD 25%, 개별주 넣으면 MDD 더 올라감 @다시보고 싶으면 10화 // 2. Allocater Smartly - Strategics 예) 영구 포트폴리오가 60/40 Benchmark 와 비슷함으로 얘를 68%, VAA 32%라고 하면 MDD 20% 그렇다면 Monthly & Annual Return 봤을 때 변동성 엄청남 * 강환국 기준 MDD가 중요, 1-2년 안에 수익률은 훨씬 작거나 높게 나옴 >> MDD 타겟에 따라, 이대로 감내하거나 주식 비중을 줄여야할 지 선택해야 함 예) 주식 버리면 영구 5천 5백이 주식 비중 높은 올웨더 포트폴리오가됨. All-Weather 68%, VAA 32% 하면 복리 12.2% (실제로는 주식이 주가지수보다 높고, 현금에서 9% 수익 가정하면 이보다는 좋을 것) MDD 10% Longest Drawdown (안되면 얼마만에 최고점 돌파 가능한가?) 17개월 >> 리밸런싱은 영구 포트폴리오는 1년 2회 추천(4월 마지막주 전주에 주식 비중 축소하고 10월 말에 다시 늘리고, *4월은 3주차부터 빠지기 시작) VAA는 월마다 (특히 월말 또는 월초가 수익률이 좋음)
  • VAA 모멘텀 스코어 구하는 법(할투 커뮤에 매월 1일 종목 올림 @강환국): 1. Allocate Smartly - Strategies - Strategy screener - VAA(Keller and Keuning's Vigilant Asset Allocation 들어가면 뭐 살지 나옴  2. 직접 엑셀로 계산하는 법 = Yahoo Finance 가서 SPY(미국) EFA(글로벌) EEM(개도국) AGG(채권) LAD IEF SHY 총 7개 검색, Historical data가서 Frequency = Monthly, Time period = 5Y 하고 Apply 한 후 Adj close (수정주가)를 월말 기준으로 엑셀에 입력 예) 지금이 1월이면 12월부터 쭉 앞으로 입력해놓고 1M = 12월/11월 X 12, 3M = 12월/9월 X 4, 6M = 12월/6월 X 2, 12M = 12월/12월 X 1하고, 7개 중에 하나라도 마이너스이면 안전자산에 투자. 안전자산 중 스코어가 가장 높은 안전자산에 투자하기 (마이너스도 OK) * VAA 전략 자세히 알아보자 
  • 개별 주식은 손절 전략이 없으면 MDD 5-60%임, 자산 배분하면 손절 전략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MDD 줄어드는 것
  • 결국 '내가 만든 전략'을 얼마나 잘 실행하느냐가 Key임
  • 그린 블라트: 1년 투자하면 5개월은 지수보다 수익 안 좋음, 1년 후 수익은 15% 근처에 못갈 가능성 높음, 3~4년 중 1년은 죽을 쑨다, 2-3년 연속 안통하는 구간도 있을 것, 이때 버틸 수 있느냐

 

해야할 일 @퀀트킹

  • 전체 2300개 기업 다운로드, 나의 공식 (예: PER + GP/A) 사용해서 지금 내가 투자한 기업이 전략 기준 몇 순위인지 확인 가능
  • 데이터들은 유료용 게시물에 있다고 함
  • 22년 2분기 실적은 8/16 - 8/17 정도 업데이트 된다고 함
  • 퀀트킹 4대 포트 뭔지 확인해볼 것
  • 프리오픈 데이 날짜 확인 할 것

 

들어가볼 것

  • allatte.com